The Korean Society for Western Medieval History

본회는 서양중세사의 연구와 이와 관련된 학술활동 및 정보교류를 목적으로 한다.

학회지/연구발표


pISSN: 1229-4454

Korea Society for Western Medieval History , Vol.34. (2014)
pp.1~30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De Trinitate)』의 구조와 장르

김경수

(나사렛 대학교)

본 소고의 주요 목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에서 5-7권을 따로 떼어 아리우스주의에 대한 논박으로 읽기보다는, 부정신학의 관점에서 신인식론을 다루는 삼위일체론의 전체적 문맥에서 5권부터 7권을 읽어야 그 의미와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는데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있어서 부정신학의 특성은 삼위일체론의 통일성을 제공해 주는 중요한 장르들 중의 하나였다. 그리고 동방교회에서와 같이 그리스도인의 실천적인 삶과 동떨어진 신비신학이나 명상적 혹은 철학적 주장을 의미하지 않는다. 비록 아우구스티누스가 삼위일체론에서 부정신학의 특성들을 유지하고 있을지라도, 그가 5권부터 7권에 이르기까지 인간언어를 통해 신을 논리적이고 유추적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부정신학은 신에 대한 불가지론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삼위일체론의 5-7권에서 신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설명은 8권부터 15권을 통해 신의 형상으로서 인간이 신을 인식해 갈 수 있는 신인식의 원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의 후반부는 5권부터 7권에 이르기까지 신을 묘사하는 방법의 유형을 따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한다면, 본 논문의 핵심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에서 5-7권이 특정한 아리우스주의를 논박하기 위해 저술되었다기보다는 부정신학의 문맥에서 신인식론을 다룬 삼위일체론의 전체적 문맥에서 5-7권을 읽어야하고, 삼위일체론의 전체적 문맥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부정신학과 연관된 신인식의 과정은 그리스도인의 실천적인 삶, 즉 영성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Structure of Augustine’s De Trinitate and Its Genre

Kyung-Soo KIM

Augustine’s De Trinitate is usually regard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works, as he himself says that it can only be comprehended by a few. It also seems true that De Trinitate is a discursive work, since it took a long time for Augustine to complete the work. These dimensions make it difficult for modern scholars to find a unity of De Trinitate and to reconstruct any particular social context. Specifically, when scholars treat Books 5-7 of the work, generally known as Augustine’s Arian discourse, the problem of the unity become more complex.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Books 5-7 in the context of the entire De Trinitate, in which Augustine maintains apophatic theology throughout the work. Since these three books are not isolated, the apophatic character for Augustine is one of the major principles that gives unity to De Trinitate. In order to emphasize the way of Christian life, how to speak and know God in a concrete historical life, Augustine contends that human beings can grasp a knowledge of God through mirrors, namely, human forms of languages and mind. Thus, the apophatic for Augustine does not imply either mystical theology or a speculative or philosophical claim like Eastern Fathers. In this sense, it is possible that, though he sustains the apophatic character in De Trinitate, for Augustine, this does not imply agnosticism about God, since he speaks of God in human language forms in Books 5-7. This provides the principle for how human beings, as image of God, can know God in Books 8-15. This follows the example of the way of speaking of God in Books 5-7. This dimension leads us to treat De Trinitate as a whole in order to find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ork.

Download PDF list